재고자산관리를 위한 방법과 매입매출 거래의 기록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재고시스템의 선택과 매출원가>
기말재고의 수량 파악과 재고자산관리를 위한 방법으로는 계속기록법과 실지재고 조사법의 두 가지가 있습니다.
계속기록법은 재고자산을 매입할 때뿐 아니라 매출한 때에도 매번 재고자산의 증감액을 기록하므로 장부상으로 언제라도 재고자산 금액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계속기록법은 실지재고조사법에 비하여 재고자산에 대한 정확하고 적시성 있는 정보를 제공해 줄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저가의 다양한 상품을 대량으로 취급하는 업종에서는 판매되는 상품의 원가를 매번 파악해야 하므로 채택하기 어렵고 또 상대적으로 회계 기록의 유지비용도 큽니다.
한편 실지재고조사법은 회계기간 동안 상품을 매입할 때에는 매번 재고자산의 증가액을 기록하지만, 매출할 때는 재고자산의 감소액을 즉시 기록하지 않고, 대신 회계 기말에 실제로 회사 창고 등에 남아 있는 재고 자산을 조사하여 판매된 재고자산의 수량과 원가를 거꾸로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실지재고조사법으로 재고자산을 관리하면 판매되는 재고자산의 매출원가를 판매할 때마다 파악하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합니다.
최근 들어서는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계속기록법의 사용이 용이하게 되면서 많은 기업이 재고 및 원가 정보의 효율적 관리를 위하여 계속기록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에는 실무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계속기록법에 의한 회계처리를 설명하겠습니다.
1. 매입과 매출 거래의 기록
1) 구매와 판매
상품이 판매되어 구매자에게 인도되면 이에 따른 현금의 수입•지출과 상관없이 판매거래와 구매거래가 각각 판매자와 구매자의 장부에 기록됩니다. 상품을 판매함으로써 발생하는 수익은 매출이라는 수익 계정의 대변에 기록됩니다.
이때 차변에 기록되는 계정은 현금 판매의 경우에는 현금 계정, 그리고 외상 판매의 경우에는 매출채권계정입니다. 상품을 판매하면 재고 자산이 감소하게 됩니다.
기록의 근거가 되는 증빙 서류는 송장이나 세금계산서이며, 금액도 여기에 표시된 가격을 기준으로 합니다. 송장 가격은 표시 가격에서 판매자가 거래상대방에 따라서 차별적 가격을 제시할 때 발생하는 거래 할인 및 상품을 다량으로 매매할 때 발생하는 수량할인을 차감한 후의 금액입니다.
판매되어 감소한 재고 자산의 구입 원가를 매출원가라고 부릅니다. 회계 기록으로는 판매와 동시에 판매된 상품의 매출 원가를 매출원가 계정의 차변에 기록하고 감소한 재고자산의 원가를 재고자산 계정의 대변에 각각 기록합니다.
이는 상품의 판매로 인하여 매출 원가라는 비용이 발생하였고, 재고 자산이라는 자산이 감소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그런데 주의할 점은 오직 기업의 주된 영업 활동과 관련된 상품이 판매되는 경우에만 매출계정에 기록한다는 것입니다.
상품이 아닌 다른 자산, 예를 들면 사무실 비품을 처분했을 경우에는 매출 계정이 아니고 직접 그 자산 계정의 대변에 기록하여 해당 자산계정을 감소시킵니다.
만일 현금을 받고 처분했다면 현금 계정의 차변에 기록하고, 외상으로 처분했다면 매출채권 계정이 아닌 미수금 계정의 차변에 기록해야 합니다.
구입 원가를 재고자산계정의 차변에 기록합니다. 이때 상대가 되는 대변에는 구입 대금지급조건이 현금 또는 외상이냐에 따라 각각 현금계정이나 매입채무계정을 이용합니다.
재고자산을 외상으로 구입한 경우에는 매입채무계정에 기록합니다. 만일 기업에서 업무수행에 필요한 기타자산(예를 들면 사무용 PC, 비품 또는 운반용 차량 등)을 외상으로 구입했다면, 매입채무계정 대신 미지급금계정의 대변에 기록하는 동시에 해당 자산의 차변에 기록하도록 합니다.
2. 매출환입(매입환출)과 매출에누리(매입에누리)
대부분의 상품매매계약에서는 구입한 상품에 결함이 있거나 운송 중에 파손된 경우 구매자가 그 상품을 판매자에게 되돌려 보냅니다. 이처럼 구입한 상품을 판매자에게 되돌려 보내는 것을 구매자의 입장에서는 매입환출이라고 하고, 판매자의 입장에서는 매출환입이라고 합니다. 구입한 상품을 되돌려 보냈을 때 구매자는 금액을 환급받거나 또는 원래의 송장 가격에서 이를 차감하면 됩니다.
만약 상품의 결함이 경미한 경우 구매자는 적당한 에누리(allowances)를 받는 조건으로 해당 상품을 그대로 인수하기도 합니다.
매입환출이나 매출환입 또는 에누리가 발생하게 되면 판매자나 구매자는 이미 기록한 매출계정이나 재고자산계정에서 직접 차감하거나 매출에누리와 환입이나 매입에누리와 환출 계정에 별도로 기록하기도 합니다.
별도로 관리하는 경우 구매자는 기말에 매입에누리와 환출을 재고자산으로부터 차감하여 재고자산 순매입액을 계산합니다.
'회계 지식 총집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무제표의 유용성과 한계점 (0) | 2023.06.12 |
---|---|
상품매매회사의 회계 순환과정 (0) | 2023.06.10 |
회계 장부 마감과 상품 매매회사의 경영에 대해서 (0) | 2023.06.06 |
회계 업무 - 부가세 신고와 홈택스 자료 수집 후 활용법 (0) | 2023.06.05 |
재무제표의 작성과 목적 (0) | 2023.06.04 |
댓글